Web Study/Server
-
AWS 를 사용한 서버리스 아키텍쳐 적용기(삽질기) (1) - 람다함수 1Web Study/Server 2019. 5. 7. 11:43
서버리스 아키텍쳐 (serverless architecture) 란? 기존에 서버를 가지고 하던 서비스를 서버가 없이 동작하게 만드는 구조. (그렇다고 진짜 서버가 없는 것은 아니고, 클라우드를 통해 서버가 없는 것처럼 사용한다는 뜻. 진짜 물리서버는 어딘가에 당연히 있음.) 서버리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서버리스를 구축하기 위해 AWS를 사용합니다. 0. AWS lambda란? serverless event handling computing service. 다시말해, 서버가 없는 클라우드 함수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기존의 서비스들은 서버에 코드를 올려 배포한 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었다면, 람다는 서버에 따로 올려서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 넘나 좋은 것~..